top of page

Articles

TREE OF MAN

 

Not long ago, rows of metasequoia trees stood near the living room windows, obscuring the sunlight and the scenery of the space. The trees were severely trimmed along with the nests inside. Now, behind the tree's scarred visage, the distant scenery is revealed in all its glory. Tree of Man - a tree planted by human need but destined to be felled by human necessity.

 

Trees hold great significance in human lives as they provide material benefits and evoke emotions of solace and aesthetic delight. Reflecting on their adaptive existence in the ever-changing cycles of nature, we seek meaning in our own lives. Just like how trees shed their leaves, reminding us of the ephemeral and finite nature of our existence, they also bud again in spring, regaining their lushness and inspiring us with their resilient life force that triumphs over death. The usefulness and symbolism of trees are why we often desire their presence in our lives. Despite encountering countless trees every day, whether real, artificial, plastic, or as flattened images, we often fail to consciously acknowledge their presence in our mundane lives, especially those that are artificial or cultivated.

 

I am more drawn to trees in the city than trees in nature, which are often overly aestheticized, as I am frequently fascinated by everyday objects and urban landscapes. TREE OF MAN depicts the appearance of trees in our surroundings. In a single frame, it conveys both the animalistic human nature that seeks to objectify trees and expand the world, and the trees that accept their given world and find their place within it. Humans, much like trees, are shaped by the circumstances of their birth and environment. Just as humans are not free to choose where or when they are born, trees in the city may not desire to be planted in inhospitable urban environments. However, trees face their fate and persist till the end. TREE OF MAN embodies the unconscious yearning to live like a tree and encourages us to “see trees anew” and “rethink the meaning of life.”

 

사람의 나무

 

얼마전 사람사는 공간의 햇빛과 풍경을 가린다는 이유로 거실창 가까이 줄지어 서 있는 메타세콰이어들이 과격하게 가지치기를 당했거나 아예 둥지가 잘려나갔다. 지금은 나무의 흉해진 모습뒤로 먼풍경까지 훤히 보인다. 사람의 필요에 의해서 심어지고 사람의 또다른 필요에 의해서 베어지는 사람의 나무여

 

사람은 나무에게서 수많은 물질적 유용함을 얻어내고, 심리적으로는 미적 즐거움과 위안을 받는다. 그리고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는 나무의 존재방식을 우리의 삶에 투영시켜 인생의 의미를 찿기도 한다. 나무의 잎이 떨어지는 모습을 통해 우리의 삶 또한 일시적이며 유한함을 알게해 주고, 봄에 싹을 틔우며 다시 무성해지는 모습은 죽음에서 살아 돌아오는 강인한 생명력을 본받게 한다. 나무의 이런 유용함과 상징성은 사람의 곁에 항상 두고 싶어하는 이유일 것이다. 우리는 어디서든 실제 나무, 플라스틱 나무, 이차원에 재현된 나무 이미지 등 무수한 나무를 볼 수 있다. 사람이 조성하거나 만든 수많은 나무에 둘러싸여 있는 우리는 너무나 일상적이어서 때로는 그 존재를 의식하지 못할때도 많다.

 

일상의 사물이나 도시의 풍경에 관심이 많은 나는 자연 속의 아름답고 경외의 대상으로서의 나무보다 도시 속의 나무에 마음이 더 이끌린다. [사람의 나무]는 우리 주변에 있는 나무의 모습이다. 나무를 대상화하여 세계를 확장하려는 동물성의 인간과 주어진 세계를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제 자리를 마련하는 식물성인 나무가 한 프레임안에 공존한다. 사람도 개인적 차원에서는 나무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사람이 언제 어디서 태어날지의 자유가 없 듯이 도시 속의 나무도 열악한 환경속에 심어지길 원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나무는 그 운명을 직시하며 끝까지 이어나가는 선택을 한다. 그런 나무처럼 살고자 하는 무의식의 소망이 담긴 [사람의 나무]는 나무 ‘다시 보기’이자 삶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기’이다

 

Petit Repertory

 

I have picked out 38 pictures from those I photographed over the past three years. Those photographs mostly signify places I stayed or traveled such as Korea and America. The United States may seem exotic to Koreans and South Korea may seem exotic to Americans, but it is irrelevant to fi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 would like to take notice of ever changing ‘dailiness’ or day-to-day changes and differences.
 

Such dailiness includes something like that: the mark of a butterfly-shaped pattern stuck to the window, a fish waiting for death in a fish tank at a sushi restaurant, a bird whose feet are wrapped with a band, a mannequin’s hand on which skin peels, and a man’s tattooed arm lifting a cocktail glass. These quotidian fragments are neither objects with clear meanings nor things with concrete narratives. They are not generalized and dead but vivid and distinct.

 

Things become more interesting if they are barbed-wire fences, windows, veils, or ambiguous objects beyond the curtains. When a subject for photography is out of focus and is taken from an unstable angle, the subject looks more alive. We come to imagine something beyond a photograph when the face of a figure is unseen, a shadow is made, or any diffused refraction occurs. I think picturing the nonexistent, unknown, or unseen is humanity’s most superior ability and desire.

 

I intended to show a few images pigeonholed together as in a series. Those images form a loosely related series though, I thought this mode of showing is proper in revealing the fact that ‘editing’ and the context of seeing is important in photographing and viewing.

 

 

By Kim Kyung-hee

최근 3년 동안 찍은 사진 중에 38장을 추렸다.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두세 달씩 머물러야 하는 상황 때문에 사진들은 대부분 내가 체류했거나 여행했던 장소를 나타낸다. 한국인에게는 미국이, 미국인에게는 한국이 이국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겠지만, 지역의 특색을 애써 찾아내는 것과는 무관하다. 이와는 달리 나는 내 생활 속에 있으며 항상 변하는 ‘일상성’, 또는 일상의 변화와 차이들 자체에 주목하고 싶었다.

 

그 일상성이란 내게 이런 것이다. 유리창에 붙어 있는 나비 문양의 흔적, 바다를 뒤로하고 횟집 어항 속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물고기, 다리에 플라스틱 밴드를 감고 있는 새, 피부가 벗겨진 마네킹의 손, 칵테일 잔을 쥐고 있는 한 남자의 문신 가득한 팔. 이런 일상의 파편들은 내게 명확한 의미를 지닌 대상이나 구체적인 이야기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일반화된 죽은 일상이 아니라 생생하고 독특한 일상이다.

 

내게 사물은 철조망, 유리창, 베일과 커튼 너머의 모호한 대상이 될 때 더 흥미롭다. 초점이 불안하고 앵글이 불안정할 때 그 대상이 오히려 살아있는 것 같다. 인물의 얼굴이 보이지 않을 때, 상황이 모호할 때, 그림자가 드리워지거나 난반사가 일어날 때 오히려 사진 너머의 무엇인가를 상상하게 된다. 존재하지 않거나, 모호하여 알 수 없는 것, 혹은 볼 수 없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인간의 가장 탁월한 능력이자 욕망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사진 이미지를 몇 개씩 묶어 연작처럼 보여주기로 했다. 실제로 강한 관련이 있는 연작이라는 뜻보다는, 이 사진들의 찍기에서나 보기에서나 ‘편집’과 보는 맥락이 중요하다는 점을 드러내기 적합했기 때문이다.



2021.4.      김경희

 

 

 

 

 

 

 

 

 

 

 

 

 

 

 

 

 

 

 

 

 

 

 

 

 

 

 

 

 

 

 

 

 

 

 

 

 

 

 

 

 

bottom of page